워드프레스 FTP로 설치하기
워드프레스를 FTP로 설치하려면 가장 먼저 호스팅업체의 웹호스팅 상품을 결제해야 한다. 웹호스팅이란 워드프레스를 설치할 웹 공간을 빌리는 것을 말한다.
요즘 웹호스팅 메뉴에 워드프레스 자동 설치가 추가된 곳이 많이 있다. 다른 업체에서 구입한 도메인이 있다면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호스팅업체의 네임서버로 변경하고 도메인을 연결한다.
FTP란 호스팅업체가 제공하는 웹 서버 공간과 내 컴퓨터를 연결해주는 무료 프로그램이다. ftp를 이용해서 내 웹호스팅 공간에 파일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할 수 있다.
ftp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방법은 먼저 ftp 프로그램 파일질라 클라이언트를 다운[링크]받아 설치한다. 설치과정 중에 필요하지 않는 프로그램은 설치히자 말고 오직 파일질라 클라이언트만 설치한다.
파일질라를 실행해서 호스트에는 도메인 주소, 사용자명에는 ftp 계정 이름, 비밀번호에는 ftp 계정 비밀번호를 적는다. 호스트 주소와 사용자명, ftp 계정 비밀번호는 호스팅업체와 개인 설정에 따라 다르므로 메뉴얼이나 고객센터에 문의를 한 다음 접속한다.
포트는 21과 22 둘다 가능한데 22가 보안접속이라고 하니 22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22로 접속하면 어떤 호스팅업체는 웹호스팅 서버를 함께 이용하는 다른 이용자들 아이디가 모두 뜬다. 물론 접속은 내 계정만 되니까 안심해도 된다.
호스팅업체에 따라 보안상의 이유로 21 또는 22 포트를 막아놓은 곳도 있다. ftp 접속이 자꾸 실패한다면 호스팅업체에서 제공하는 메뉴얼이나 고객센터 문의를 통해 도움을 받도록 한다.
ftp 계정에 접속해서 나오는 폴더 이름 중에 public_html 을 연다. 호스팅업체마다 폴더 이름이 다를 수 있다. 이제 여기에 설치할 워드프레스 파일을 다운[링크]받자.
다운 받은 워드프레스 파일 압축을 푼다. 압축을 푼 파일들을 모두 ftp 계정의 public_html 폴더에 업로드한다. 워드프레스 파일 중에 폴더 안에 들어있는 파일까지 모두 다 업로드 됐는지 확인하자.
도메인주소를 입력하면 기다린던 워드프레스 설치 첫 화면이 뜬다. Let’s go를 클릭한 후 다음 화면의 DB 이름과 사용자명, 비밀번호를 정확하게 입력한다. 모두 입력 후 저장하기를 누르면 워드프레스가 설치가 시작된다. 워드프레스 설치가 아무 문제없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워드프레스의 안녕하세요 글을 볼 수 있다.
※워드프레스에서 글을 쓸 때 글에 삽입하는 이미지 파일 이름은 반드시 영어나 숫자로 만들어야 한다. 왜냐하면 플러그인[관련글 링크]을 이용해 다른 웹호스팅업체로 이전 설치할 경우 이미지 엑박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