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센스 수익 기업은행 수수료
애드센스 수익을 받을 때 기업은행 원화 외화 내맘대로 통장으로 받고 있습니다. 내맘대로 통장은 한 통장안에 원화계좌와 외화계좌가 따로 분리돼 있어서 달러로 들어오는 애드센스 수익을 원화로 바꾸지 않고 달러로 예금해둘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율이 낮을 때는 달러로 넣어뒀다가 환율이 오르면 그때 원화로 바꿔 환차익을 노릴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달러로 좀 모아놔야지 하고 생각을 했는데 돈이 궁하다보니 매달 애드센스 수익 들어오자마자 쓰기에 바쁩니다. 예전에는 애드센스 수익을 받으려면 직접 기업은행에 가서 웨스턴 유니언 퀵캐시 송금신청서를 작성해야 했습니다. 그때에 비하면 이제는 내 은행 계좌로 바로 입금해주니 아주 편한 세상입니다.
애드센스 수익에 붙는 중개수수료와 송금수수료
애드센스 수익을 받을 때 기업은행 통장으로 들어온 입금 금액이 내가 계산한 금액보다 적게 들어와서 이상하게 생각한 적이 있을 겁니다. 그 이유는 은행에서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당시의 환율을 적용하기 때문입니다. 달러는 살 때와 팔 때의 환율이 다릅니다. 그리고 수수료가 두 번 빠져 나갑니다.
애드센스 수익을 은행으로 받을 때 내야하는 수수료는 중개수수료와 송금수수료입니다. 구글이 애드센스 수익을 국내 은행으로 보낼 때 송금은행에서 해외 중개은행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중개수수료가 나갑니다. 중개수수료는 외국 은행이 5달러 떼 먹고 송금수수료는 수취은행인 내 입금 계좌 은행이 1만원을 받아갑니다.
현재 중개수수료와 송금수수료가 가장 저렴하다고 알려진 은행은 SC제일은행과 우체국입니다. SC제일은행은 중개수수료가 없고 송금수수료는 월 300달러 미만일 경우 면제, 300달러 이상이면 1만원을 받습니다. 애드센스 우체국 송금수수료는 건당 5천원이라고 알려져있고 우체국예금보험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애드센스 수수료가 가장 싼 은행은 어디일까?
외환 달러를 해외에서 우체국으로 송금 받을때 중개수수료에 대해서는 나와있지 않아서 고객센터에 전화를 해봤더니 상담원이 정확히 알고 있지를 못합니다. 외환 송금과 관련해서 우체국은 신한은행과 제휴를 맺고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우체국 역시 중개수수료는 신한은행 중개수수료와 동일하게 5달러를 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애드센스 수익 100달러를 받는다면 중개수수료 5달러가 빠진 95달러가 국내은행으로 들어옵니다. 이 95달러를 은행이 만약 1달러 1000원의 환율을 적용한다면 9만5천원이 되는데 여기서 송금수수료 1만원을 빼고 내 통장에는 8만5천원이 최종 입금됩니다.
기업은행 애드센스 적용 환율과 수수료 내역 확인하기
애드센스 수익을 기업은행으로 받을 때 얼마의 환율이 적용되고 또 수수료로 얼마나 떼 갔는지 상세내역을 기업은행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업은행 개인뱅킹 홈페이지 상단에 있는 외환 메뉴에 마우스 화살표를 가져다대면 외화송금에 받은 송금조회가 있습니다.
조회기간에서 최근10건을 클릭하면 지난 송금거래내역이 뜹니다. 확인할 거래건을 선택한 다음 거래목록 위에 있는 계산서조회나 상세조회를 클릭하면 이번달 내 통장에 입금된 애드센스 수입 적용 환율과 수수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지급계좌 기업은행 스위프트코드
구글 애드센스 수익 지급계좌를 기업은행으로 변경하려면 애드센스 홈페이지 – 지급 – 지급받는방법/결제 수단 관리 – 결제수단 추가 – 새 은행 송금 세부정보 추가를 선택하면 됩니다. 수취인이름은 안적어도 됩니다.
예금주 이름은 영어로 애드센스 수익을 받을 계좌 주인 이름을 영어로 적습니다. 은행 이름은 Industrial Bank of Korea, SWIFT 은행 식별 코드(BIC) IBKOKRSE 입니다. 계좌번호는 계좌번호 사이에 있는 – 는 빼고 숫자만 정확하게 적습니다.